
[ 직접 풀어보세요 ]
Week1 01강 Exercise1
[ 빈칸추론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Sometimes when people have behaved badly, it is wise not to treat them badly in return; it is better to forgive them and let begones by bygones. In such instances we might continue to recognize that they deserve worse; yet at the same time we choose to set this consideration aside. Some philosophers have found this __________. How, they ask, can we say that someone deserve ill treatment and at the same time endorse forgiveness? If we ought to treat people as they deserve, and someone deserves to be treated badly, then fogiving him and giving up the bad treatment necessarily involves failing to do what we ought to do. It would follow, then, that we ought never to forgive people. Thus, the argument goes, we cannot both acknowledge deserts and countenance forgiveness.
(1) handy
(2) fictional
(3) productive
(4) paradoxical
(5) destructive
[ 해석 ]
Sometimes when people have behaved badly, it is wise not to treat them badly in return; it is better to forgive them and let bygones by bygones.
때때로 사람들이 안 좋게 행동했을 때, 그에 대한 반응으로 안 좋게 대우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며, 그들을 용서하고 지나간 일을 잊는 것이 더 낫다.
In such instances we might continue to recognize that they deserve worse; yet at the same time we choose to set this consideration aside.
그러한 경우에 우리는 그들이 더 안 좋게 대우를 받아 마땅하다는 것을 계속 인정할 수도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우리는 이런 생각을 제쳐 두기로 결정한다.
Some philosophers have found this
paradoxical.
어떤 철학자들은 이것을 역설적이라고 여겼다.
How, they ask, can we say that someone deserve ill treatment and at the same time endorse forgiveness?
어떻게 우리는 누군가가 형편없는 대우를 받아 마땅하다고 말하면서 동시에 용서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인지 그들은 묻는다.
If we ought to treat people as they deserve, and someone deserves to be treated badly, then fogiving him and giving up the bad treatment necessarily involves failing to do what we ought to do.
만약 받아 마땅한 대로 사람들을 대우해야 하고, 누군가는 안 좋게 대우를 받는 것이 마땅하다면, 그런 경우 그를 용서하는 것 그리고 안 좋은 대우를 그만두는 것은 필연적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을 하지 못하는 것을 수반한다.
It would follow, then, that we ought never to forgive people.
그러면 우리는 결코 사람들을 용서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이 나올 것이다.
Thus, the argument goes, we cannot both acknowledge deserts and countenance forgiveness.
그러므로, 그 주장은 우리는 당연한 응보를 인정하면서 동시에 용서를 허용할 수는 없다고 한다.
(1) handy 다루기 쉽다고
(2) fictional 허구적이라고
(3) productive 생산적이라고
(4) paradoxical 역설적이라고
(5) destructive 파괴적이라고
[정답 4번]